(해외) 2025년 10월 11일(토) 저녁 주요 핫이슈 10가지!

📅 발행일: 2025년 10월 11일 저녁 브리핑
🏷️ 카테고리: 해외
📊 주요 뉴스: 10건 선별
⏱️ 읽기 시간: 약 3분

📰 오늘의 주요 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부 셧다운 상황에서도 군인 급여 지급을 지속하라고 지시하며 민주당의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우리 군인들이 10월 15일에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사용 가능한 자금을 사용하라’고 국방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미국 정부는 예산안 통과에 실패해 필수 기능을 제외한 업무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스라엘에서 가자지구 휴전 합의 환영 집회가 열리며,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정책에 대한 감사의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재러드 쿠슈너와 스티브 위트코프가 참석한 이 행사에서, 위트코프는 ‘우리는 모두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할 큰 빚을 졌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트럼프의 중재로 이루어진 휴전 합의가 중동의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마스 고위 관리가 가자지구에서의 전투 재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리는 우리 땅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무장 해제가 협상의 난제로 남아있으며, 전쟁이 재개된다면 모든 역량을 동원해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향후 협상에서의 복잡한 상황을 예고합니다.

중국이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반박하며 ‘중남미는 그 누구의 뒷마당도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냉전 시대의 사고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비판하며, 중국은 중남미와의 협력이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Top 10 뉴스 상세

#1 트럼프, 셧다운 속 군인 급여 지급 지시

📰 요약
미국 정부의 셧다운이 계속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군인 급여 지급을 지속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그는 민주당의 책임을 강조하며, 군인들이 오는 15일 급여를 받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트럼프는 '군 통수권자로서의 권한'을 활용해 국방부 장관에게 모든 자금을 동원해 군인 급여를 지급하라고 명령했습니다.

현재 미국 정부는 예산안 처리가 지연되면서 필수 기능을 제외한 업무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공화당은 예산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하는 임시예산안을 제안했지만, 민주당은 의료보험 보조금 연장을 요구하며 대치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약 130만 명의 군인도 무급으로 복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군 급여 예산을 따로 처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98950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98950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2 트럼프의 중재, 가자 휴전 합의 환영

📰 요약
재러드 쿠슈너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가자지구 휴전 합의 환영 집회에 참석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 역할을 강조했다. 이들은 이스라엘군과 미군 수장과 함께 가자지구를 시찰하며, 트럼프의 기여에 대한 감사의 목소리를 높였다.

위트코프 특사는 '우리는 모두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할 큰 빚을 졌다'고 언급하며, 트럼프가 중동 평화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땡큐 트럼프'를 외치며 환호했지만, 네타냐후 총리 언급 시에는 야유가 터지기도 했다. 이는 이스라엘 내 정치적 긴장감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이번 휴전 합의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중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하마스 무장 해제 및 국제안정화군 배치 등의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는 중동 지역의 안정화와 평화 구축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열린 가자지구 휴전 합의 환영 집회. 2025.10.11 ⓒ 로이터=뉴스1 ⓒ News1 이지예 객원기자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31977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31977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3 하마스, 전쟁 재개 시 싸울 것…무장 해제 난항 예고

📰 요약
하마스의 고위 관리가 미국의 평화 구상에 반대하며, 팔레스타인 영토를 떠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호삼 바드란은 가자시티에서의 휴전 협상에 대해 어려움이 예상되며, 전쟁이 재개된다면 모든 역량을 동원해 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무기는 팔레스타인 인민의 자연스러운 일부'라며 무장 해제의 복잡성을 강조했다.

현재 진행 중인 1단계 합의는 이스라엘군 철수와 인질 귀환을 포함하고 있지만, 2단계 협상에서는 하마스의 무장 해제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바드란은 '무기란 단순한 무장만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인민의 방어 수단'이라고 주장하며, 무장 해제가 협상의 난제로 떠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또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의 권리가 없으면 지역의 안정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11일 폐허가 된 가자시티 모습
[AP 연합뉴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72083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72083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4 중남미, 미국의 뒷마당이 아니다!

📰 요약
중국이 아르헨티나 주재 대사관을 통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강력히 반박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아르헨티나와의 200억 달러 통화스와프 체결 후, '중남미에서 중국이 주도하는 국가를 원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미국의 우선 과제로 아르헨티나의 안정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중남미는 그 누구의 뒷마당도 아니다'라며 미국의 개입적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중국은 아르헨티나와의 협력이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해왔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패권주의적 접근이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간섭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기여를 촉구했습니다.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중국은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어,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89849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89849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5 중남미, 미국의 뒷마당 아니다! 중국의 강력 반박

📰 요약
중국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대해 강력히 반박하며 '중남미는 그 누구의 뒷마당도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아르헨티나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이후, 중남미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경계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중국은 이를 냉전적 사고방식으로 간주하며 비판했습니다.

중국은 중남미 국가들과의 협력이 지역 발전에 기여해왔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간섭과 패권주의를 비난했습니다.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논란을 일으켰으며, 현지 수석장관은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가 중국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이는 중남미에서의 중국의 경제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2258018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6 마다가스카르 군인, Z세대 시위에 동참

📰 요약
마다가스카르에서 진행 중인 'Z세대 시위'가 군인들까지 끌어들이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11일, 수도 안타나나리보에서 수천 명의 반정부 시위대가 군인들의 호위를 받으며 민주화의 상징인 '5·13 광장'으로 향했습니다. 이는 시위대가 그곳에 진입한 첫 사례로, 로이터는 이 사건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통해 일부 군인들이 동료들에게 시위대 지원을 촉구하는 영상이 퍼지며 '상관의 명령에 불복하라'는 메시지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군 내부에서도 불만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시위 현장에 군인들이 합류한 사실은 정부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달 시작된 시위는 단수와 정전에 대한 항의에서 시작해 대통령 사임 요구로 격화되었고, 라조엘리나 대통령의 해임 조치에도 불구하고 불만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마다가스카르의 정치적 상황은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보이며, 군인들의 시위 참여가 향후 정부와의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변화는 아프리카 전역의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을 것입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2258016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7 트럼프, 가자 평화 정상회의 주재…유럽 정상들 참석

📰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집트에서 열리는 가자지구 평화 정상회의를 주재하며, 유럽과 중동의 주요 정상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이 회의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1단계 휴전 합의를 공식화하는 서명식과 함께 진행되며, 13일로 예상된다. 이집트 외무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압둘팟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이 회의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을 비롯해 이탈리아와 스페인 정상들도 참석을 확정지었다. 이 회의의 주요 목표는 영구적인 휴전을 확립하고 인질을 석방하며, 가자지구에 대한 인도적 접근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마스가 무장 해제를 거부하고 있어 2단계 이행 방안 논의는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상회의는 중동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모으는 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 방문 후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이 지역의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2국가 해법'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전용 헬기 마린원을 타고 백악관에 도착한 뒤 취재진을 향해 엄지손가락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25.10.1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28982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28982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8 중남미, 미국의 뒷마당 아니다! 중국의 강력 반박

📰 요약
중국은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대해 강력히 반박하며 중남미 지역은 어떤 국가의 뒷마당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아르헨티나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후 인터뷰에서 '중남미에서 중국이 주도하는 국가를 원하지 않는다'고 언급했지만, 중국은 이를 냉전적 사고에 기반한 도발로 간주했습니다.

중국은 아르헨티나와의 협력이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간섭과 패권주의적 태도가 중남미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미국이 불화를 조장하는 대신 실질적인 기여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논란을 일으켰으며,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44814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9 147년 전통의 남성만의 공화국, 파르바 도무스

📰 요약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 위치한 '파르바 도무스'는 147년의 역사를 지닌 남성 전용 공화국으로, 우정과 오락, 예술을 위한 특별한 공간입니다. 이곳은 정치, 종교, 심지어 축구 이야기도 금지되어 있으며, 회원들은 카드 게임과 음악, 예술에 집중하며 소통합니다. 150명의 회원이 함께하는 이 모임은 앤티크 자동차 행진과 화려한 의상으로 성대한 축제를 열며, 그들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공화국은 '작은 집, 큰 휴식'이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신고전주의 양식의 저택과 정원이 그들의 영토를 구성합니다. 회원들은 이곳에서의 경험을 통해 영혼을 채우고, 처음에는 불편함을 느꼈던 이들도 이제는 집처럼 편안함을 느낀다고 전합니다. 역사적으로 여성은 제외되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행사에 참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2/0002258013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10 중남미, 미국의 뒷마당이 아니다! 중국의 강력 반박

📰 요약
중국은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에 대해 강력히 반박하며 중남미 지역은 어떤 국가의 뒷마당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아르헨티나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이후 인터뷰에서 '중남미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원하지 않는다'고 언급했지만, 중국은 이를 냉전적 사고의 연장선으로 간주하고 비판했다.

중국은 아르헨티나와의 협력이 상호 존중과 평등의 원칙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해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의 간섭과 패권주의적 태도가 중남미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기여를 촉구했다. 이러한 발언은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논란을 일으켰으며, 중국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72082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72082
📅 발행: 2025-10-11 19:00 (수집: 2025-10-11 19:00)


📝 이 포스트는 AI 기반 뉴스 수집 및 요약 시스템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