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2025년 11월 06일(목) 오후 주요 핫이슈 10가지!

📅 발행일: 2025년 11월 06일 오후 브리핑
🏷️ 카테고리: IT/과학
📊 주요 뉴스: 10건 선별
⏱️ 읽기 시간: 약 3분

📰 오늘의 주요 뉴스

CJ CGV는 3분기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흑자를 유지하며, 베트남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7.2% 감소했다. 동남아 시장의 성장세와 CJ 4DPLEX의 글로벌 확산이 실적을 견인하며 회복세에 진입하고 있다.

마크애니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SWITCH 2025 행사에 참가해 AI 콘텐츠 신뢰 기술을 선보였다. 고속 워터마킹 기술과 클라우드형 콘텐츠 보안 서비스 ‘세이포러스’를 통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출처를 추적하고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이는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와 AI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라남도가 국내 첫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되며,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지산지소’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 이는 전력 송배전망의 한계를 극복하고,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AI는 100만 개 이상의 기업 고객을 확보하며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기업공개(IPO)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현재 기업 매출의 40%가 기업 고객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130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해킹을 당한 서버 43대의 존재를 은폐한 정황이 드러났다. 해킹된 서버는 고객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며, KT는 이를 신고하지 않고 흔적을 지운 것으로 밝혀졌다.


🔍 Top 10 뉴스 상세

#1 CJ CGV, 동남아 성장세로 흑자 유지

📰 요약
CJ CGV가 2023년 3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했다. 그러나 베트남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동남아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회사는 국내 사업 구조 개선과 고정비 절감을 통해 실적 회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3분기 매출은 5천831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7.2% 감소한 234억원에 그쳤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영업이익이 359.4% 증가하며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인도네시아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매출이 회복됐다. CJ 4DPLEX의 글로벌 확산과 동남아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세가 전사 실적을 견인하며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4분기에는 '아바타: 불과 재', '주토피아 2' 등 기대작의 개봉이 예정되어 있어 기술 특별관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CJ CGV는 동남아 시장에서의 신규 출점과 한국 영화 배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할 방침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9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9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2 마크애니, AI 콘텐츠 신뢰 기술로 글로벌 무대에 나서다

📰 요약
AI 보안 전문기업 마크애니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SWITCH 2025' 행사에 참가해 고속 워터마킹 기술과 클라우드형 콘텐츠 보안 서비스 '세이포러스'를 선보였다. 이들은 '신뢰할 수 있는 AI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부스를 운영하며, 생성형 AI 시대에 필요한 콘텐츠 신뢰와 저작권 보호 기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AI가 생성한 이미지와 영상의 출처를 추적하고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워터마킹 기술을 실시간으로 시연해 많은 관심을 끌었다.

이번 행사에서 마크애니는 AI 콘텐츠 신뢰 기술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해외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 현지 기업 및 기관과의 협력 논의를 통해 '세이포러스'의 SaaS형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진출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마크애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협력하여 AI 반도체 응용실증 지원사업을 진행하며, 생성형 AI 워터마킹 기술을 개발 중이다.

마크애니의 최고 대표는 'SWITCH 2025' 참가를 통해 AI 콘텐츠 신뢰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C2PA 등 국제 표준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세이포러스'를 통해 안전하고 투명한 AI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8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8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3 전남,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첨단 산업 도약

📰 요약
전라남도가 국내 최초로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지역 내 전력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지산지소'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인공지능과 반도체 등 전력을 대량으로 소모하는 첨단 산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남은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의 최대 생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송배전망의 부족으로 인해 전력 생산에 제약이 있었습니다. 이번 특화지역 지정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인근 수요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전기료 부담이 줄어들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정부는 해남과 영암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도입해 재생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전라남도의 첨단 산업 육성을 가속화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61583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4 초슬림폰, 헐값으로 전락한 이유는?

📰 요약
최근 초슬림폰 시장에 화웨이가 뒤늦게 합류했지만, 삼성과 애플의 판매 부진이 여전히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화웨이는 80만원대의 '메이트 70 에어'를 출시하며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이미 두 대기업이 겪은 흥행 실패로 인해 소비자들의 기대감은 낮아진 상황이다. 특히, 삼성의 '갤럭시 S25 엣지'는 출시 초기 150만원에 달하는 가격이었으나, 현재는 보조금 덕분에 5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다.

삼성과 애플의 초슬림폰은 화제성과는 달리 판매 실적이 저조해 시장에서의 생존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하나투자증권에 따르면, 갤럭시 S25 엣지의 첫 달 판매량은 19만 대에 불과했으며, 이는 이전 모델들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애플의 아이폰 17 시리즈도 초기 판매 비중이 3%에 그쳐, 초슬림폰 시장이 단기간 내에 단종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통신업계는 삼성과 애플이 향후 초슬림폰 모델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이폰 17 에어'가 가격 대비 기능이 부족해 틈새시장에서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며, 초슬림폰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54036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54036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5 새만금, 1조 원대 인공태양 유치전 돌입!

📰 요약
전북 새만금이 1조 원 규모의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 경쟁에 뛰어들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은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정부는 이를 통해 에너지 혁신을 이루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 시설이 들어서면 3백 개 기업과 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은 1그램의 연료로 석유 8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의 미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북도는 새만금의 넓고 저렴한 땅을 최대 장점으로 내세우며, 기존 산업과의 시너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와 탄소, 재생에너지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달 말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며, 새만금이 인공태양 유치에 성공할 경우, 지역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북이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61551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6 중국, 한국 인재 유치 위해 600통 메일 발송

📰 요약
중국 정부가 과학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한국의 연구자들에게 최소 600건의 이메일을 발송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메일은 중국의 '천인계획'의 일환으로, 과학기술 분야의 해외 인재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영입 프로그램이다. 특히, 연봉 4억 원과 자녀 학자금, 주택 지원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한국의 핵심 연구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가정보원은 기술 유출 우려로 출연연에 조사를 요청했으며, 그 결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가장 많은 메일이 발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한국의 핵심 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안보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으로도 중국의 인재 유치 전략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카이스트 교수의 기술 유출 사건처럼, 한국의 우수 인재들이 중국으로 이동할 경우, 국내 연구 환경과 기술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정부와 연구기관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천인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407194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407194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7 KT, 해킹 사실 은폐 의혹에 휘말리다

📰 요약
KT의 서버 43대가 지난해 해킹을 당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KT는 이 사실을 알고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은폐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해킹 기간은 지난해 3월부터 7월까지로, 초소형 기지국 관련 서버가 주로 공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조사단은 감염된 서버에 핵심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며, 이름, 전화번호, 단말기 식별번호 등의 정보가 유출되었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연관될 수 있어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KT는 해킹 사실을 숨기면서 행정적 조치뿐만 아니라 도덕적 비난까지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61538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8 오픈AI, 100만 기업 고객 확보…상장 논의는 미뤄

📰 요약
오픈AI가 100만 개 이상의 기업 고객을 확보하며 IT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이 회사는 전체 매출의 40%를 기업 고객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대비 9배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이러한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오픈AI는 기업공개(IPO)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은 '지금은 상장을 논의할 시점이 아니다'라며, 연구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금융, 의료, 리테일 등 다양한 산업에서 챗GPT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 확충과 칩 구매 비용 증가로 인해 적자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프라이어 CFO는 정부의 데이터센터 투자에 대한 금융 보증 필요성을 강조하며, 자본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오픈AI의 기업공개 시기를 2027년 이후로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AFP연합뉴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86079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86079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9 쎄봉라마, 글로벌 팬덤을 사로잡다!

📰 요약
디지털 IP 엔터테인먼트 기업 IPX가 새로운 캐릭터 IP '쎄봉라마(SSEBONGRAMA)'를 공개하며 성수에서 팝업 스토어를 열었다. 이 캐릭터는 IPX 소속 아티스트 '쎄봉'의 창작물로, 15년간의 경력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쎄봉은 소셜미디어에서 1,700여 작품을 선보이며 4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확보한 인기 아티스트로, 쎄봉라마는 그의 독창적인 세계관을 담고 있다.

쎄봉라마는 현대인의 무기력함을 유머러스하게 표현하며, 특히 2030세대에게 큰 공감을 얻고 있다. 캐릭터들은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IPX는 이를 통해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글로벌 브랜드 케이스티파이와의 협업을 통해 아시아 베스트셀러 아티스트로 자리매김한 쎄봉은 앞으로도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7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7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10 장주기 ESS 혁신, 리튬 배터리 한계 극복해야

📰 요약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 분야에서 장주기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창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PD는 '리튬이온배터리와 양수발전 외에도 다양한 기술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현재 리튬 배터리 기술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생에너지의 가변성을 보완하기 위해 12시간 이상의 장주기 ESS가 필수적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 PD는 장주기 ESS의 경제성을 분석하며, 비리튬계 기술이 더 유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과 중국은 바나듐레독스플로우배터리(VRFB), 압축공기저장(CAES) 등 다양한 대안 기술에 투자하고 있으며, 한국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R&D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액체공기 ESS와 중형 양수발전 시스템 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전남 지역이 테스트베드로 활용될 예정이다.

김 PD는 내년 ESS R&D 과제에 약 1천200억원의 국비 투입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전남 지역에서 유틸리티급 BESS와 AI 기술을 결합한 혁신적인 프로젝트로, 향후 ESS 시장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6

🔗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7376
📅 발행: 2025-11-06 13:00 (수집: 2025-11-06 13:00)


📝 이 포스트는 AI 기반 뉴스 수집 및 요약 시스템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